상하이는 중국 동부 연안에 위치한 국제적인 대도시로, 연중 날씨 변화가 뚜렷한 도시입니다. 겨울은 짧고 춥지만 건조하고, 여름은 덥고 습하며 장마와 태풍의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봄과 가을은 비교적 온화하고 여행하기 좋은 시기입니다.
상하이는 우리나라 서울과 비슷한 위도에 있어 날씨 흐름이 유사한 편이지만, 여름철 습도와 겨울철 체감 추위는 상하이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여행을 계획할 때 꼭 확인해야 할 요소입니다. 지금부터 상하이 여행에 필요한 계절별 날씨 정보를 상세히 안내합니다.
상하이의 계절별 날씨 특징
상하이는 온대 습윤 기후에 속하며, 사계절이 뚜렷하게 나뉘는 지역입니다. 봄(3~5월)은 평균 기온이 10~22도 사이로 기온 상승이 빠르며, 대기 오염이 일시적으로 심해지는 시기입니다. 기온이 오르면서 벚꽃 등 봄꽃을 보기에도 적절한 시기입니다.
여름(6~8월)은 평균 기온이 30도 전후이며, 습도가 매우 높아 체감 온도는 35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날이 많습니다. 장마는 6월 하순부터 7월 중순까지 이어지며, 간헐적인 태풍도 영향을 줍니다.
가을(9~11월)은 날씨가 선선하고 맑은 날이 많으며 평균 기온은 20도 안팎으로 쾌적한 시기입니다. 습도가 낮아 야외 활동이나 관광, 쇼핑 등 다양한 여행 활동에 적합한 시기입니다.
겨울(12~2월)은 서울보다 온화하지만 습한 냉기로 인해 체감 온도는 더 춥게 느껴집니다. 평균 기온은 3~8도이며, 눈은 거의 내리지 않지만 비와 안개가 자주 발생합니다.
평균 기온 및 체감온도
상하이는 1년 중 가장 더운 달이 7월이며, 평균 기온이 33도까지 오릅니다. 반면 가장 추운 달인 1월에는 평균 3~8도를 기록하며, 일교차보다는 습한 냉기로 체감 온도가 더 낮게 느껴집니다.
여름에는 높은 습도로 인해 체감 온도가 실제보다 3~5도 더 높습니다. 예를 들어 기온이 30도일 때 체감은 35도 이상이 되는 날이 많습니다. 때문에 햇빛을 피할 수 있는 모자, 양산, 선크림이 필수입니다.
겨울에는 바람보다는 습도가 체감 온도를 낮추는 요인이 됩니다. 영상 기온임에도 불구하고 뼛속까지 스며드는 냉기가 있어 보온에 특히 신경 써야 합니다. 건물 내 난방은 생각보다 약한 편이므로 실내에서도 따뜻한 복장이 필요합니다.
봄과 가을은 기온과 습도가 모두 안정적인 편입니다. 평균 15~25도 사이로 외투 하나 정도로 체온 조절이 가능하며, 체감 온도도 실제 기온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상하이 월별 평균 기온표
월 | 최저 기온 | 최고 기온 | 체감 온도 |
---|---|---|---|
1월 | 2℃ | 8℃ | 0~5℃ |
4월 | 12℃ | 21℃ | 18℃ 전후 |
7월 | 26℃ | 33℃ | 35~38℃ |
10월 | 17℃ | 25℃ | 22℃ 전후 |
상하이 여행은 단순한 평균 기온보다 습도와 체감 온도까지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위와 추위를 모두 잘 견디기 위한 복장 준비가 필요합니다.
강수량과 우기 정보
상하이는 여름철인 6월 하순부터 7월 중순까지 장마가 이어지고, 8~9월 사이에는 태풍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평균 강수일은 약 120일이며, 6~9월 사이에 전체 강수량의 60% 이상이 집중됩니다.
6월 중후반부터 시작되는 장마는 ‘메이위(梅雨)’라 불리며, 일본 오사카나 도쿄와 유사한 기후 형태를 보입니다. 이 시기의 비는 가늘고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외출 시 대비가 필요합니다.
7월 말부터 9월까지는 간헐적으로 태풍의 간접 영향권에 들 수 있어, 강풍과 폭우가 동반되는 날도 생깁니다. 여행 전 기상 예보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가 오는 날도 많지만, 짧게 지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흐림이 지속되는 경우가 잦습니다. 우산, 방수 재킷, 빠르게 마르는 의류 등을 챙기는 것이 유리합니다.
상하이 월별 강수량 정리표
월 | 강수량 (mm) | 강수일수 | 특징 |
---|---|---|---|
1월 | 40mm | 7일 | 겨울비 중심 |
6월 | 180mm | 14일 | 장마 시작 |
7월 | 140mm | 12일 | 고온다습+장마 지속 |
9월 | 120mm | 9일 | 태풍 주의 |
12월 | 35mm | 6일 | 건조한 편 |
상하이의 여름철 강수는 여행 일정에 다소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일정에 유연성을 두고, 실내 관광지와 외부 활동을 균형 있게 배치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여행 옷차림과 준비물
상하이 여행에서는 계절에 따라 적절한 복장을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여름과 겨울의 체감 온도 차이가 크고 습도가 높은 날이 많기 때문에 기능성 의류가 유리합니다.
봄과 가을에는 바람막이 재킷, 얇은 니트, 긴팔 셔츠를 기본으로 준비하면 좋습니다. 일교차가 커서 아침저녁으로는 쌀쌀할 수 있으니 외투 한 벌은 꼭 챙겨야 합니다.
여름은 무덥고 습하기 때문에 땀 흡수가 잘 되고 통기성이 좋은 반팔, 린넨 셔츠, 얇은 바지 등이 좋습니다. 자외선 차단제, 모자, 선글라스, 휴대용 선풍기도 매우 유용합니다.
겨울에는 보온 내의, 두꺼운 겉옷, 목도리 등 보온 아이템을 갖추는 것이 좋습니다. 평균 기온은 서울보다 높지만, 습한 바람 때문에 훨씬 더 춥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상하이 여행 준비물 체크리스트
항목 | 필요 시기 | 비고 |
---|---|---|
방수 자켓 | 장마철, 가을 | 강수 대비 |
썬크림/모자 | 여름 | 자외선 차단 |
보온 내의 | 겨울 | 체감 온도 대비 |
편한 운동화 | 전 계절 | 도보 이동 많음 |
마스크 | 봄, 겨울 | 미세먼지 대비 |
상하이는 도시 특성상 많이 걷고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되므로, 편안한 복장과 신발을 중심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기나 한파 대비 준비물은 여행의 질을 높여주는 핵심 요소입니다.
여행 활동과 날씨 영향
상하이는 날씨에 따라 여행 활동을 달리 구성할 수 있는 도시입니다. 실내외 관광지가 균형 있게 분포되어 있어 비 오는 날에도 일정 진행이 어렵지 않습니다. 쇼핑몰, 박람회장, 박물관, 미술관, 실내 전망대 등 다양한 실내 명소가 잘 발달되어 있습니다.
봄과 가을은 야외 활동에 매우 적합한 시기로, 예원, 와이탄(외탄), 푸동 전망대, 황푸강 유람선 등 걷기 좋은 코스와 야경 명소 방문이 추천됩니다. 공원 산책이나 거리 풍경 감상도 날씨가 선선할 때 더 만족스럽습니다.
여름철에는 고온다습한 날씨로 인해 낮 시간대 야외 활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시기에는 실내 관광과 야간 일정으로 구성을 변경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낮에는 휴식 중심으로 일정을 조정하는 전략도 좋습니다.
겨울은 날씨가 비교적 온화하지만 습한 바람으로 인해 추위를 느낄 수 있으므로, 실내 체험형 관광지를 중심으로 일정을 짜면 쾌적하게 여행을 즐길 수 있습니다. 온천이나 호텔 스파 시설도 좋은 대안이 됩니다.
월별 날씨 요약
상하이의 날씨는 월별로 뚜렷한 특성을 보입니다. 여행 계획 시 아래 요약표를 참고하면 가장 적절한 시기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상하이 월별 날씨 특징 요약
월 | 평균 기온 | 강수량 | 특징 |
---|---|---|---|
1월 | 4℃ | 40mm | 습한 추위 |
4월 | 17℃ | 80mm | 봄꽃 개화 |
7월 | 32℃ | 140mm | 장마와 더위 |
10월 | 22℃ | 60mm | 가장 쾌적한 시기 |
상하이 여행은 봄(4~5월)과 가을(9~10월)이 가장 인기가 높습니다. 여름은 피서 목적이 아니라면 피하는 것이 좋고, 겨울은 일정만 잘 구성하면 저렴하게 여행하기 좋은 시기입니다.
상하이 여행 날씨 FAQ
Q1. 상하이는 사계절이 뚜렷한가요?
A1. 네, 봄·여름·가을·겨울 모두 뚜렷하게 나뉘며 날씨 변화도 뚜렷한 도시입니다.
Q2. 상하이 여행 적기는 언제인가요?
A2. 4~5월, 9~10월이 기온과 습도가 적당하여 여행하기 가장 좋습니다.
Q3. 여름 상하이는 많이 덥나요?
A3. 네, 7월은 평균 기온이 32도이며, 체감 온도는 35도 이상입니다.
Q4. 상하이에 눈이 내리나요?
A4. 거의 내리지 않습니다. 간혹 흩날릴 정도만 발생합니다.
Q5. 겨울 상하이는 춥지 않나요?
A5. 서울보다 기온은 높지만 습한 바람으로 체감 온도는 낮게 느껴집니다.
Q6. 장마 기간은 언제인가요?
A6. 6월 하순부터 7월 중순까지가 메이위(梅雨)로 알려진 장마 기간입니다.
Q7. 태풍 영향이 있나요?
A7. 8~9월에 간접 영향권에 들어 강풍이나 폭우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Q8. 실내 관광지는 많은가요?
A8. 네, 박물관, 전망대, 대형 쇼핑몰, 전통 건축 실내 전시 등이 풍부합니다.
Q9. 상하이에서 일교차가 큰 달은 언제인가요?
A9. 3월과 11월이 일교차가 큰 편으로 아침저녁은 쌀쌀합니다.
Q10. 날씨 때문에 비행기나 기차 운항에 문제가 있나요?
A10. 태풍이 강하게 올 경우 항공 지연이나 결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11. 비 오는 날은 일정 변경이 어려운가요?
A11. 실내 대체 관광지가 많아 일정 조정은 용이합니다.
Q12. 복장은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요?
A12. 레이어드 복장이 적합하며, 우기엔 방수 자켓과 우산을 준비하세요.
Q13. 상하이는 미세먼지가 심한가요?
A13. 봄철 대기 질이 일시적으로 나빠질 수 있어 마스크 준비가 좋습니다.
Q14. 상하이의 자외선 지수는 높은 편인가요?
A14. 여름철은 매우 높아 자외선 차단제, 선글라스가 필요합니다.
Q15. 모바일로 날씨 확인은 어디서 하나요?
A15. '웨더차이나(Weather China)', 'AccuWeather', '네이버 날씨' 앱을 활용하면 정확한 정보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상하이 날씨 요약 정리
상하이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월별 날씨 변화가 명확한 도시로 여행을 계획할 때 계절별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봄과 가을은 여행에 가장 적합한 시기로 기온이 온화하고 습도도 낮아 쾌적한 여행이 가능합니다.
여름은 덥고 습하며, 장마와 태풍이 겹치는 시기로 실내 활동을 중심으로 계획하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은 기온은 낮지 않지만 습한 바람으로 인해 체감 추위가 강하므로 보온 준비가 필요합니다.
전체적으로 실내외 관광이 조화롭게 가능한 도시이므로 날씨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면 언제든지 만족스러운 여행이 가능합니다.
⚠️ 상하이 여행 시 주의사항
-
장마철(6월~7월)은 긴 우기이므로 방수 복장과 우산은 필수입니다.
-
여름에는 자외선이 강하고 체감 온도가 높아 열사병에 유의해야 합니다.
-
겨울은 영상권 기온이라도 습기로 인해 실내에서도 보온이 필요합니다.
-
계절 전환기에는 일교차가 심해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
대기 질이 나쁜 날이 있어 마스크와 공기질 앱 확인이 도움이 됩니다.
-
날씨 예보가 급변할 수 있으니 현지 앱으로 매일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0 댓글